How to 12

마케팅 할 때 타겟 고객을 어떻게 찾나요?

타겟 디스커버리(Target Discovey)란 마케팅의 타겟 고객을 찾는 가장 기본적이며 유용한 방법입니다. 오늘은 타겟 디스커버리에 대한 개념과 타겟 디스커버리를 통한 잠재 고객 발굴의 중요성, 기존 방식의 한계, 그리고 새로운 AI 서비스를 통한 타켓 디스커버리가 어떻게 마케팅 ROI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타겟 디스커버리란?타겟 디스커버리는 마케팅에서 잠재 고객을 찾아내고 정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기존에 알고 있던 고객군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와 분석을 통해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고객층을 발견하는 방법이죠. 예를 들어, 기존의 회사는 어떤 제품이 20대 여성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30대 여성 중 젊은 감각을 유지하고 싶은 이..

How to 2025.04.28

내 상품은 몇점? 퀵 서베이의 NPS!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제품과 서비스의 성공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 NPS(Net Promoter Score)에 대해 알아볼게요. 또, InterviewX의 퀵서베이 기능을 통해 어떻게 쉽고 빠르게 NPS를 측정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NPS란 무엇일까요?여러분, 친구에게 "이거 정말 좋아! 너도 써봐!"라고 추천해본 경험 있으시죠? 바로 이 '추천 의향'을 수치화한 것이 NPS입니다. 2003년 Bain & Company의 프레드 라이히헬드가 개발한 이 지표는 단 하나의 질문으로 고객 충성도를 측정합니다."친구나 동료에게 이 제품/서비스를 추천할 의향이 얼마나 되시나요? (0~10점)"이렇게 간단한 질문이지만, 여기서 얻은 답변은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예측하는 강력한 도구가 됩..

How to 2025.04.14

둘 중 뭘 골라야 하나... 고민될 때! 퀵 서베이의 'A/B 테스트' 기능

오늘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기획하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고민해봤을 문제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바로 "이 디자인이 좋을까, 저 디자인이 좋을까?", "이 문구가 효과적일까, 저 문구가 효과적일까?" 같은 선택의 순간들이죠. 이런 고민을 해결해주는 가장 과학적인 방법이 바로 A/B 테스트인데요. 오늘은 InterviewX의 퀵서베이 기능 중 A/B 테스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관에만 의존하지 말고, 데이터로 말하는 의사결정의 세계로 함께 들어가볼까요? A/B 테스트란 무엇인가요?A/B 테스트(스플릿 테스팅이라고도 함)는 두 가지 버전(A안과 B안)을 비교하여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1. 기존 버전(A)과 변형된 버전(B)을 준비합니다2. 사용자들을 무작위로..

How to 2025.04.14

퀵 서베이란? 1분만에 30명의 의견을 듣는 방법!

안녕하세요!여러분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이거 사용자들이 어떻게 생각할까?"라는 고민을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아니면 A안과 B안 중 어떤 것이 더 좋을지 빠르게 의견을 수집하고 싶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이런 고민을 단 1분 만에 해결할 수 있는 '퀵 서베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퀵 서베이, 왜 필요할까요?기획자, 마케터, 디자이너라면 누구나 공감하실 겁니다. 아이디어나 기획안이 실제 사용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알고 싶은데, 실제 설문조사를 진행하려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비용도 만만치 않죠. 게다가 응답자를 모집하는 것부터가 큰 난관입니다.만약 동료들의 의견만 듣게 된다면? 샘플이 너무 적고 편향될 수 있어요. 그렇다고 아무것도 확인하지 않고 진행하자니 불안하고요.바로 이런 상..

How to 2025.04.11

창업, 그리고 페르소나

지난 글에서 고객 세분화의 중요성과 이를 소홀히 해서 실패한 사례들을 살펴봤는데요, 오늘은 한 걸음 더 나아가 페르소나 개념과 그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고객 페르소나란 무엇일까요?고객 페르소나는 단순히 '30대 남성' 같은 추상적인 타겟층 설명이 아니라, 실제 사람처럼 구체적으로 만들어낸 가상의 고객 프로필입니다. 이 페르소나에는 나이, 직업, 라이프스타일은 물론 소비 습관, 가치관, 고민거리까지 담겨 있어요. 마치 소설 속 인물처럼 생생하게 그려낸 캐릭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창업에서 고객 페르소나가 중요한 5가지 이유1. 타겟 고객 구체화추상적인 시장 분석표 대신, 실제 인물처럼 구체적인 프로필을 만들면 팀원 모두가 같은 고객을 떠올릴 수 있어요. "30~40대 직장인"이라는 모호한 설명보다 "..

How to/Tutorial 2025.03.31

고객 여정, 시작부터 끝까지 함께하세요!

고객이 우리의 서비스를 처음으로 인지하는 순간부터, 구매, 사용, 그리고 재구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은 단순하지 않습니다.고객이 어떤 경로를 거치며, 어느 지점에서 멈추거나 불편함을 느끼는지 파악하는 것은 서비스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열쇠입니다.그런데 고객의 여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바로 여기서 InterviewX의 소비자 여정 맵핑 기능이 빛을 발합니다. 소비자 여정 맵핑 기능이란?  소비자 여정 맵핑은 고객이 서비스를 경험하는 전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지도입니다. 위와 같은 고객 경험의 모든 접점을 시간 순서대로 분석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개선점을 도출합니다. 이 기능은 특히, 서비스 기획자나 마케터에게 고객의 실제 여정을 파악하고, 병목 현상을 해결하는 데 유용합니다...

How to 2025.03.28

비즈니스 모델, 이렇게 설계하니 성공했다!

혹시 이런 고민,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우리 비즈니스 모델, 제대로 설계된 걸까?""새로운 아이디어는 떠오르는데, 구체화하는 게 너무 어렵다..." 창업자에게 “비즈니스 모델 수립”은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하지만 이게 말처럼 쉽지 않죠.시장조사, 고객 분석, 수익 구조 설계까지...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때도 많습니다. 오늘은 비즈니스 모델 최적화와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특히 InterviewX의 AI 기능을 활용해 비즈니스 모델을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설계, 왜 어려울까? 비즈니스 모델 설계는 단순히 "돈을 어떻게 벌지?"를 고민하는 게 아닙니다.고객이 원하는 가치, 그 가치..

How to 2025.03.27

창업, 그리고 고객 세분화

창업을 준비 중이신가요? 아니면 이미 사업을 시작하셨나요? 어느 단계에 계시든, 고객 세분화는 여러분 비즈니스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입니다. 고객 세분화란 기업의 고객 기반을 공유된 특성에 따라 별개의 그룹 또는 세그먼트로 나누는 과정입니다. 창업 초기에는 '우리 제품은 모두에게 필요해!'라고 생각하며 이 고객 세분화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사람을 타겟으로 하는 비즈니스는 성공하기 어려워요. 제한된 자원으로 최대 효과를 내려면 누구에게 집중할지 명확히 해야 합니다.고객 세분화가 필요한 이유1. 자원 효율성 극대화창업 초기에는 자금, 인력, 시간 모두 부족합니다. 하지만 고객 세분화를 한다면 귀중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또한 고객 니즈 패턴을 파악하면 제..

How to/Tutorial 2025.03.26

애견인에게 물걸레 청소기를 팔려면

안녕하세요! 새로 오신 분들을 위한 튜토리얼 2탄입니다!이전 글을 읽어보고 오신다면 더 이해가 빠르실 거에요.2025.03.21 - [How to/Tutorial] - 마우스, 이런 사람도 쓴다고? 마우스, 이런 사람도 쓴다고?InterviewX에 처음 오셨거나, 아직 사용이 어색한 분들을 위해서 이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이번에는 조금은 생소하실 수 있는 Unique User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어느 뜬금없는 하루, 마우스로interviewx.tistory.com 이번에는 L씨와 함께, Macro Segment에 대해 좀 더 알아볼까요? L씨는 한 청소기 업체의 대표입니다.회사의 명운을 건 신규 상품, 이지체인지의 전념하는 가운데, L씨의 고민은 나날이 깊어갑니다. '난 우리 회사의 기술력을 믿어..

How to/Tutorial 2025.03.24

마우스, 이런 사람도 쓴다고?

InterviewX에 처음 오셨거나, 아직 사용이 어색한 분들을 위해서 이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이번에는 조금은 생소하실 수 있는 Unique User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어느 뜬금없는 하루, 마우스로 열심히 무언가를 클릭하던 K 씨는 불현듯 마우스가 불편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내가 만들면 더 잘만들 수 있을 텐데... 마우스 사업을 해볼까?' InterviewX에 대해 잘 알고 있던 K 씨는 바로 InterviewX에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마... 우... 스... 됐다"   딱 세 글자만 입력했는데도 프로젝트의 개요가 생겼네요!  그렇게 프로젝트를 만든 K씨는 이제 다음이 걱정되었습니다.  '이렇게 만들면 누가 사지? 누구나 마우스를 쓰긴 쓸텐데, 누구나 내껄 사진 않을거 아냐"K..

How to/Tutorial 2025.03.21
InterviewX 바로가기